반응형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각종 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되는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크린부팅을 통해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최소한으로 실행시켜

어떤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린 부팅을 하기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됩니다.

윈도우의 검색창에 msconfig 를 입력하면 시스템 구성앱이 뜨며

열기를 클릭합니다.

검색란이 없는 경우 윈도우탐색기의 주소표시줄에 msconfig 를 치고

엔터를 쳐도 똑같이 시스템 구성앱이 실행됩니다.

 

시스템 구성창이 열리면 서비스 탭을 클릭한후,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에 체크합니다.

이는 윈도우에 중요한 서비스는 감춰서 해당서비스가 중지되는걸

막는 역할을 합니다.

"Microsoft서비스 숨기기"를 클릭하지 않고 모두 사용안함을 클릭하면

윈도우가 정상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에 체크표시를 했다면

"모두사용안함"을 클릭합니다.

"모두사용안함"을 클릭한후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시작프로그램" 탭을 클릭한 후 "작업관리자 열기"를 클릭합니다.

작업관리자가 열리면 시작탭에 컴퓨터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납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후 왼쪽 하단의 "사용안함"을 클릭해도 되며,

해당 프로그램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한 후 "사용안함"을 클릭해도됩니다.

시작프로그램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놓더라도 해당프로그램이

손상되는거나 삭제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실행시키면되니 뭔지 잘모르겠다면

전부다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됩니다.

시작프로그램을 전부 사용안함으로 설정후 다시 시스템구성 창으로

이동해서 "확인"을 클릭해줍니다.

확인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다시 시작 메뉴가 뜹니다.

"다시시작"을 클릭하면 재부팅되면서 클린부팅이 됩니다.

다른 작업을 하고 있던중이라면 "다시 시작하지 않고 끝내기"를

클릭하면 재부팅되지 않으며, 시스템 구성창만 닫히고

다음 재부팅시에 클린 부팅이 적용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다수의 컴퓨터들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컴퓨터는 인터넷에 연결된순간부터 수많은 해킹 시도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윈도우에는 기본적인 해킹방어 수단으로 방화벽이 내장되어있습니다.

방화벽이란 미리 정의된 보안규칙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입니다.

쉽게말해 인터넷을 통한 비정상적인 접근을 막는 시스템입니다.

윈도우는 기본값으로 방화벽이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방화벽을 끄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지만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방화벽을 해제해야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방화벽을 켜고 끄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버튼을 클릭한후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해 윈도우설정 메뉴로 들어갑니다.

윈도우 설정창의 제일 아래쪽에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보안창이 뜨면 왼쪽 메뉴의 "Windows 보안"을 클릭한후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 를 클릭합니다.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창"이 열리면 3개의 네트워크중 (활성)이라고

써있는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활성이라고 되어있는 네트워크가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이며

다른 네트워크는 사용하지 않는다면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저의 경우는 공용네트워크를 사용중이니 공용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공용네트워크를 클릭하면 방화벽을 켜고 끄는 메뉴가 나옵니다.

"켬"으로 해놓으면 방화벽이 활성화되며

"끔"으로 해놓으면 방화벽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보통 USB메모리는 FAT32방식으로 포맷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FAT32는 호환성이 높고 속도가 빠르나 4기가 이상의 큰 파일은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USB메모리의 내용을 삭제해도 괜찮은 경우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드라이브의 포맷 메뉴에서 간단하게 NTFS로 포맷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삭제되면 안될 데이터가 들어있는 경우는 다른 드라이브로 복사했다가

포맷후 다시 데이터를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윈도우7 / 8 / 8.1 / 10 / 11 에서는 데이터 손실없이 FAT32파일시스템을

NTFS로 변환할 수 있는 툴을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습니다.

아래 설명은 윈도우 버전에 상관없이 변환 방법은 같습니다.

먼저 윈도우키+R 키를 동시에 누르면 윈도우 실행창이 뜹니다.

여기에서 cmd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윈도우 커맨드창이 뜹니다.

아래와 같이 커맨드창이 뜨면

convert 드라이브명: /fs:ntfs 를 입력합니다

저의 경우 e드라이브이므로

convert e: /fs:ntfs 라고 입력하였습니다.

그리고 엔터를 치면됩니다.

그러면 e드라이브의 볼륨레이블을 입력하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혹시나 드라이브명을 잘못 입력해 다른 드라이브가 변환되는걸 방지하는

목적입니다.

저의 경우는 드라이브 볼륨레이블이 'USB메모리' 이므로

'USB메모리'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정상적으로 NTFS로 변환되는 화면이 나옵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 드라이브의 속성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파일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곰오디오는 (주)곰앤컴퍼니에서 만든 무료 오디오 재생 프로그램입니다.

곰오디오는 기본적인 오디오 재생기능 이외에도 무료음악듣기, 팟캐스트,

음악방송, 노래가사검색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곰오디오를 통해 간단히 음악방송을 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곰오디오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리웨어이며

지원운영체제는 윈도우7 / 윈도우8 / 윈도우10 입니다.

곰오디오 소개/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gomlab.com/gomaudio-audio-player/

 

고음질 음악스트리밍 무료음악플레이어ㅣ곰오디오

곰오디오는 mp3재생, 팟캐스트 인터넷 라디오 방송 청취, 싱크가사 등을 지원하는 무료 음악 플레이어입니다.

www.gomlab.com

곰오디오 윈도우용 최신버전 제작사 다운로드 링크

https://app.gomtv.com/gomaudio/GOMAUDIOKORSETUP_NEW.EXE

먼저 곰오디오 홈페이지 또는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https://app.gomtv.com/gomaudio/GOMAUDIOKORSETUP_NEW.EXE

설치시 2개의 추가적인 프로그램설치를 묻는 화면이 나오는데 설치를 원하시지

않는다면 비동의/동의안함을클릭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시킨 화면입니다.

왼쪽창의 팟캐스트를 실행시키면 라디오방송등을 들을 수 있으며

음악방송 메뉴를 클릭하면 대략 100개내외의 음악방송 채널을 무료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방송목록이외에 개인방송 또는 다른 라디오 방송을 추가할 경우

목록하단의 + 를 클릭하신후 주소추가를 클릭합니다.

주소 추가창이 뜨면 원하는 주소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해당 방송이

재생목록에 추가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엣지 브라우저(Edge Browser)는 보안을 위해 팝업 차단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이트에서 팝업창이 자동으로 차단돼서 불편한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경우 팝업 차단기능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엣지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의 ... 아이콘을 클릭한 후

메뉴창이 뜨면 하단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창이 열리면 오른쪽 메뉴중에서 '쿠키 및 사이트 권한'을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 중간의 목록중에서 중간쯤에 보면 '팝업 및 리디렉션'이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기본적으로 '차단됨'이라고 설정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사용권한/ 팝업 및 리디렉션 페이지가 열리면

제일 상단의 차단(권장) 메뉴를 끄면 모든 사이트의 팝업 차단이 해제됩니다.

만약 팝업 차단기능을 유지하되 특정 사이트의 팝업만을 허용하고 싶다면

팝업 차단 메뉴는 켜둔 상태에서 허용 탭의 '추가'를 클릭하신후

원하는 사이트를 입력하고 추가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의 팝업은

차단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VPN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PC에서 사용하고 계실겁니다.

안드로이드에서도 VPN연결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M20 안드로이드 10기준으로 VPN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스마트폰 / 다른 안드로이드 버전이라도 방법은 동일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설정메뉴로 들어간 뒤 연결을 클릭합니다.

연결 메뉴에서 제일 하단쯤 기다 연결 설정을 클릭합니다.

기타 연결 설정 메뉴에서 VPN메뉴를 클릭합니다.

현재는 만들어진 VPN연결 설정이 없는 상태로 VPN을 추가하기위해

오른쪽 상단의 ... 메뉴를 클릭합니다.

다음 VPN프로필 추가를 클릭합니다.

VPN 네트워크 편집 메뉴가 나오면 VPN의 이름(아무거나 편한대로)과

VPN의 종류, 서버주소, 사용자 이름,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PPP암호화의 경우 VPN서버에서 암호화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체크해줍니다.

고급옵션 표시 메뉴를 클릭하면 DNS 검색도메인, DNS서버,전달경로등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DNS의 경우 대부분 VPN서버에서 자동으로

전달해주므로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전부 입력했다면 저장을 클릭합니다.

VPN설정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목록에 나타나며

해당 VPN이름을 클릭하면 연결 메뉴가 나타납니다.

VPN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연결됨으로

표시되며 상태표시줄에는 열쇠모양의 아이콘이 생깁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10부터는 기존의 호환성과 보안성이 떨어지던 인터넷 익스플로러 대신

Edge(엣지)브라우저가 추가되었습니다.

윈도우를 새로 설치했을 경우 바탕화면에 엣지브라우저 아이콘이 없는 경우

새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만약 작업표시줄에 엣지 아이콘이 있다면 간편한 방법으로

아이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작업표시줄의 엣지아이콘에 커서를 이동후 SHIFT키를 누른채로

마우스를 오른쪽클릭합니다.

메뉴가 뜨면 보내기 ->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로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작업표시줄에 엣지 아이콘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빈 바탕화면에 마우스를 오른쪽 클릭한후 새로만들기 ->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바로 가기 만들기 창이 뜨면 항목 위치에 다음 경로를 붙여넣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windir%\explorer.exe shell:Appsfolder\Microsoft.MicrosoftEdge_8wekyb3d8bbwe!MicrosoftEdge

바로가기의 이름을 원하는 대로 입력한 후 마침을 클릭합니다.

엣지 브라우저 아이콘이 바탕화면에 만들어졌으나 아래 사진과 같이

파일탐색기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콘을 변경하고싶은 경우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한 후

'속성'을 클릭합니다.

속성창이 열리면 바로가기 -> 아이콘 변경을 클릭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기본 아이콘들 중에는 엣지 브라우저의

기본 아이콘이 없습니다.

아이콘 변경창의 경로 표시줄에 다음 경로를 붙여넣으면 엣지아이콘이

보입니다. 아이콘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엣지아이콘으로 변경됩니다.

%windir%\SystemApps\Microsoft.MicrosoftEdge_8wekyb3d8bbwe\MicrosoftEdge.exe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안드로이드 앱플레이어들이 많아져서 궂이 VMWARE에 안드로이드를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혹시나 필요하신분들이 있을꺼 같아 올립니다.

양이 방대하니 아는 부분은 건너뛰시면 됩니다.

윈도우용 X86 안드로이드 이미지파일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파일은 iso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rpm은 리눅스용입니다.

https://www.android-x86.org/

 

Android-x86 - Porting Android to x86

Android-x86 Run Android on your PC This is a project to port Android Open Source Project to x86 platform, formerly known as "patch hosting for android x86 support". The original plan is to host different patches for android x86 support from open source com

www.android-x86.org

 

안드로이드 버전에 따라 많은 버전들이 있습니다.

그중에 현재 최신버전인 8.1버전으로 설치해보겠습니다.

다운로드는 아래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용량은 843MB입니다.

https://osdn.net/dl/android-x86/android-x86_64-8.1-r6-k49.iso

 

Downloading File /69704/android-x86_64-8.1-r6-k49.iso - Android-x86 - OSDN

Free download page for Project Android-x86's android-x86_64-8.1-r6-k49.iso.This is a project to port Android open source project to x86 platform, formerly known as "patch hosting for android x8...

osdn.net

 

 

VMWARE가 깔려있지 않다면 VMWARE를 먼저 설치하신후 진행해야 됩니다.

아래 링크는 개인용도로 무료로 사용가능한 VMWARE Player

다운로드 페이지입니다.

https://www.vmware.com/kr/products/workstation-player.html

 

VMWARE를 실행시킨 후 파일-> New Virtual Machine를 클릭합니다.

단축키로 Ctrl + N 을 누르셔도 됩니다.

VMWARE생성창이 열리면 Custom 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호환성선택화면입니다. Workstation 16.x를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Browse를 클릭해서 다운받은 이미지파일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게스트 운영체제 선택화면에서는 리눅스를 선택하고 버전은

Other Linux 5.x kernel 64-bit를 선택합니다.

다른 안드로이드 버전을 설치하실 경우 그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가상머신의 이름과 저장위치를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합니다.

원하는 갯수와 코어를 지정해줍니다.

다음으로 원하는 메모리 용량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설정에서는 NAT를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컨트롤러는 추전값으로하고 Next..

디스크타입도 추천값으로 선택하고 Next..

Create a new virtual disk를 선택하고 Next..

사용할 용량을 입력해주고 아래 옵션은 Mltiple files를 선택합니다.

이 옵션은 가상머신 파일을 1개로만 저장할지 여러개로 저장할지를

묻는 화면입니다. Single File로 지정해도 무방합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면 Edit Virtual machine setting를 클릭후

Display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Accelerate 3D graphics에 체크한 후 그래픽메모리는 1기가 이상으로

설정해주고 ok를 클릭합니다.

이제 가상머신 전원을 켭니다.

이제 안드로이드 설치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와 같이 Install Android-x86 to harddisk를 선택하고 엔터..

파티션 선택화면입니다. C키를 눌러 파티션을 만들어야 합니다.

GPT 타입을 사용할지 묻는 화면이 나오면 No를 선택하고 엔터..

파티션 편집화면이 나오면 New를 선택해 파티션을 만들고 첫번째 파티션을 선택하고 용량을 지정해준뒤

파티션은 Primary를 선택합니다.

다음 용량을 선택해주는 화면입니다. 기본값으로 최대용량이 지정되어있으니

엔트를 누릅니다.

부팅가능하도록 Bootable를 선택하고 엔터..

그다음 파티션을 저장하기 위해 Write를 선택하고 엔터..

다음 아래사진과 같이 파티션을 저장하겠냐는 물음이 나오면

yes를 입력해줍니다.

포맷화면에서는 ext4를 선택합니다.

GRUB 선택은 Yes를 선택합니다.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화면입니다.

설치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바로 안드로이드를 부팅할지 재부팅을 할지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아무거나 선택하셔도 됩니다.

정상적으로 안드로이드로 부팅된 화면입니다.

간단한 설정만 완료하면 바로 안드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