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하이엔드 고성능 CPU 성능비교 차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크롬 브라우저는 보안을 위해 팝업 차단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이트에서 팝업창이 자동으로 차단돼서 불편한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경우 팝업 차단기능을 해제 또는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크롬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의 ... 아이콘을 클릭한 후

메뉴창이 뜨면 하단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창이 열리면 아래와 같이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 > "사이트 설정" 을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그다음 아래와 같이 화면 하단쯤의 "팝업 및 리디렉션"을 클릭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팝업 및 리디렉션 창에서 "기본 동작"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해 

팝업의 허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팝업을 전송하고 리디렉션을 사용할 수 있음" 은 팝업을 허용한다는 의미이며,

" 사이트에서 팝업을 전송하거나 리디렉션을 사용할 수 없음"은 팝업을 차단한다는 의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화면을 캡처하고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붙여넣기 해야 할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화면 캡처 단축키를 이용하면 쉽게 이미지를 붙여넣거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장 많이 쓰는 윈도우 캡쳐 단축키입니다.

 

 

  • 전체 화면 캡처: PrtScn (Print Screen)
    • 화면 전체를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이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 붙여넣기(Ctrl + V)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활성 창 캡처: Alt + PrtScn
    • 현재 활성화된 창만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 붙여넣기(Ctrl + V)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선택 영역 캡처: Windows 키 + Shift + S
    • 화면의 일부를 드래그하여 캡처할 수 있는 도구가 나타납니다.
    • 캡처한 이미지는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 캡처 후 알림을 클릭하여 편집하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전체 화면 캡처 및 자동 저장: Windows 키 + PrtScn
    • 전체 화면을 캡처하고, C:\Users\[사용자 이름]\Pictures\Screenshots 폴더에 자동으로 저장합니다.
    • 아래 사진과 같이 내PC -> 사진 -> 스크린샷 또한 동일한 경로입니다.

  • 활성 창 캡처 및 자동 저장: Windows 키 + Alt + PrtScn
    • 현재 활성 창을 캡처하고, C:\Users\[사용자 이름]\Videos\Captures 폴더에 자동으로 저장합니다.
    • 아래 사진과 같이 내 PC -> 동영상 -> 캡쳐 또한 동일한 경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란 구글에서 만든 원격 제어프로그램으로

다른 컴퓨터나 휴대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크롬 원격 데스크톱은 구글 계정만 있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크롬브라우저에서 확장 프로그램만 설치하고 원격허용 또는 PIN번호만

입력하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파일전송, 오디오 재생, 터치스크린지원, 인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먼저 구글 검색창에서 크롬 원격데스크톱으로 검색하거나 또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 바로 구글 원격데스크톱 사이트에 방문합니다.

 

https://remotedesktop.google.com/home

 

Chrome 원격 데스크톱

Simple 컴퓨터, Android 기기 또는 iOS 기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세요.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필요할 때 모든 컴퓨터와 파일에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remotedesktop.google.com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원격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 내 화면 공유"를 클릭합니다'

그 다음 화면 공유 아래의 파란 다운로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팝업창이 열리면서 크롬 웹스토어창이 열리면 "Chrome에 추가"를 클릭해줍니다.

 

다시 확인창이 뜨면 "확장 프로그램 추가"를 클릭합니다.

설치 준비완료 화면이 나오면 다시 " 동의 및 설치"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폴더에 파일이 하나 다운받아지는데 더블클릭해서 설치합니다.

설치가 진행중인 화면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원격접속시 보여질 컴퓨터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 원격접속시 사용할 핀번호 6자리를 두번 입력해주고 "시작"을 클릭합니다.

이제 원격제어할 다른 컴퓨터에서 크롬 원격 데스크톱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방금 원격 프로그램을

설치한 컴퓨터 목록이 보이며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원격제어 접속이 진행됩니다.

중간에 설정해두었던 핀번호를 입력하면 원격컴퓨터에 접속됩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크롬브라우저안에서 원격 컴퓨터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반응형
반응형

softether vpn은 여러 운영체제에서 사용가능한 오픈 소스 VPN입니다.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국내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VPN서버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softether vpn의 설치와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링크를 클릭해 소프트이더 다운로드 페이지를 방문합니다.

 

https://www.vpngate.net/en/download.aspx

 

Download VPN Gate Client

Download VPN Gate Client download (for Windows, freeware) Simply install VPN Gate Client Plugin to SoftEther VPN Client. It will enable you to connect to any of our Public VPN Relay Servers of VPN Gate in a snap. It has a better throughput than L2TP, OpenV

www.vpngate.net

 

아래 사진과 같이 Download SoftEther Vpn Client를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고있는 OS가 윈도우라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바로 다운로드 받을수 있습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최신버전입니다.

 

https://download.vpngate.jp/common/cd.aspx/vpngate-client-2024.07.24-build-9799.159421.zip

 

파일을 다운받은 후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이 파일들이 생깁니다.

여기에서 vpngate-client를 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설치화면이 나타납니다.

"다음"을 클릭해줍니다.

다음은 설치할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와 같이 SoftEther VPN Client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약관 동의화면입니다.

동의에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주의사항입니다.

바로 "다음"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설치할 경로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기본값으로 두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한번 더 "다음"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됩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침"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아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 화면입니다. 

여기에서 Add Vpn Connection 을 클릭합니다.

Add Vpn Connection 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VPN 어댑터를 만들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예" 를 클릭하면 VPN  댑터이름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고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후 

"OK"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VPN어댑터가 생성됩니다.

 

VPN어댑터의 이름은 기본값 그대로 VPN으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VPN어댑터가 설치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VPN Gate Public VPN Relay Servers 를 클릭해줍니다.

 

클릭한 후 아래와 같이 리서치 프로젝트 참여 화면이 나옵니다.

만약 Enable the VPN Gate Relay 항목에 체크를 한다면

본인의 인터넷 회선을 VPN 서버로 사용하게 되므로 

체크를 빼고 OK 를 클릭합니다.

OK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버 목록이 나타납니다.

나라별 / 속도별 등으로 나오니 원하는 서버 목록을 더블클릭하면 VPN에 접속됩니다.

 

서버목록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주의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고 Agree 를 클릭하면 다음부터

이 메세지는 나오지 않습니다.

 

서버의 프로토콜을 정하는 화면입니다. 

기본값(Recommended)으로 두고 OK 를 클릭합니다.

몇초간 VPN 연결하는 화면이 나오며, 정상적으로 VPN이 연결되었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옵니다.

 

VPN 사용을 마친후 연결을 끊으려면  아래 사진과 같이 VPN Gate Connection 을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후 "Disconnect"를 클릭해주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메모장을 열고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저장한후 파일의 확장자를 .txt에서 .bat 로 변경하면 

배치 파일이 완성됩니다.

 

ECHO --------------------------------------
ECHO ** Clearing Chrome cache
taskkill /F /IM "chrome.exe">nul 2>&1

set ChromeDataDir=C:\Users\%USERNAME%\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Default
set ChromeCache=%ChromeDataDir%\Cache>nul 2>&1  
del /q /s /f "%ChromeCache%\.">nul 2>&1    
del /q /f "%ChromeDataDir%\Cookies.*">nul 2>&1    
del /q /f "%ChromeDataDir%\History.*">nul 2>&1    


set ChromeDataDir=C:\Users\%USERNAME%\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Google\Chrome\User Data\Default
set ChromeCache=%ChromeDataDir%\Cache>nul 2>&1
del /q /s /f "%ChromeCache%\.">nul 2>&1   
del /q /f "%ChromeDataDir%\Cookies.*">nul 2>&1    
del /q /f "%ChromeDataDir%\History.*">nul 2>&1    
ECHO ** Clearing Chrome cache DONE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이 안되서 네트워크 초기화를 해보았습니다.

다시 인테넷은 되었으나 기존에 사용하던 VPN이 연결되지 않습니다.

정상적으로 연결되는듯하다가 "원격 컴퓨터에 연결하지 못했습니다

이 연결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라는 문구가 뜨면서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 2가지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윈도우+R 단축키를 눌러 devmgmt.msc 를 입력하면 

장치 관리자가 열립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장시킨후 WAN Miniport(IPv6)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해 "디바이스 제거"를 클릭합니다.

해당 디바이스가 제거되면 아래와 같이 "동작" 을 클릭 후 "하드웨어 변경 사항 검색"을 

클릭하면 제거되었던 " WAN Miniport(IPv6)" 가 다시 생성됩니다.

이제 다시 VPN을 연결해봅니다.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윈도우 

왼쪽 아래의 컴퓨터 모양을 클릭 후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창이 열리면 화면 중간쯤의 " 어댑터 옵션 변경"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연결창이 뜨면 아래 사진과 같이 VPN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클릭한 후 "속성"을 

클릭합니다.

VPN 어댑터의 속성 창이 열리면 보안탭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VPN 종류가 맞게 선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 데이터 암호화 부분이 기본적으로 

"선택적 암호화 사용"으로 선택되어있는데 

이부분을 VPN서버에 맞게 "암호화 사용안함" 또는 "암호화 사용"으로

바꾼뒤 다시 "확인" 을 클릭후 VPN을 다시 연결해서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해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USB(Universal Serial Bus)

USB는 직렬 버스 구조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 규격 표준을 말하는 것으로

보편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규격입니다.

USB의 타입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USB Type-A

 

USB Type-A 

USB 타입 A는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USB 타입으로, 메모리 스틱이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키보드, 마우스의 케이블 선, 블루투스 동글이라고 부르는

블루투스 수신기 등에 사용되는 규격입니다.

 

USB Type-B

USB Type-B

USB 타입 B는 조금 생소할 수 있는데 보통 프린터에 연결하는 사다리꼴

모양의 규격이 USB 타입 B입니다.

 

USB Type-B Micro

 

USB Type-B Micro

구형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되던 USB 타입으로 주로 

마이크로 5핀이라고 부릅니다.

지금은 C타입에 밀려서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USB Type-C

USB Type-C

USB 타입 C는 요즘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의 충전 케이블로 많이

사용되는 규격으로 앞 뒤 구분이 없는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다른 규격들보다 포트의 크기는 작지만 내부의 금속핀은 24개의

핀 구성으로 활용도가 큰 것이 장점인데 영상출력, 음악출력,

고속충전 등 노트북의 충전단자와 모니터 단자로도 사용되는

대세 USB 타입입니다.

 

USB는 위와같이 타입으로도 나눠지지만 버전으로도 구분되는데 각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USB의 각 버전별 차이점은 전송 속도에 있습니다.

USB 2.0 버전은 최고 전송 속도가 480bps 인데 USB 3.0 버전의

최고 전송 속도는 5Gbps, USB 3.1 버전은 10Gbps, USB 3.2 버전은

20Gbps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USB 2.0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버전이지만 USB 3.0과의 속도차이는

40배 가까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