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투자에서 제일 많이 쓰는 지표가 PER, PBR입니다. 

이 두 가지 지표는 주가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지표로 많이 활용됩니다.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 표현하면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도 합니다.

기업의 주가와 순자산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자산이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총자산에서

타인자본인 부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기업의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을 말하며 통상 PBR이

1보다 낮은 경우 저평가, 2를 초과하는 경우 고평가 상태라고 말합니다.

PBR의 계산방법은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누면 됩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1천억이고 기업의 순자산이 1천억이면 

그 기업의 PBR은 1이 되는 셈입니다.

만약 시가총액이 2천이고 순자산이 1천억이라면 

2천억/1천억 = 2

PBR은 2가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주가 P를 주당 순자산가치 BPS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B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BPS가 10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B기업의 PBR은 1입니다.

 

 

BPS=순자산/주식 수

 

참고로 순자산가치는 BPS라고 하며,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이는 기업의 자산을 모든 주주에게 환원할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BPS가 높을수록 재무적으로 탄탄한 기업으로 간주되어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 볼 수 있습니다.

 

PBR은 기업의 장부가치를 바탕으로 기업이 청산되었을 때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통해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장부상 가치로 평가한다는 것은 곧 재무상태, 자본상태 등으로

주가를 평가한다는 뜻입니다.

 

PBR이 1미만일 경우, 통상 저평가로 본다고 했는데요.

현재의 주가가 장부상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었다는 뜻으로 이를 달리 말하면,

당장 이 기업이 청산되더라도 주주들은 주가 이상의 가치는 배당받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증권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했을때 화면입니다.

오른쪽에 보면 PBR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