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됩니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 상태인 배터리입니다. 

  

 

[ 리튬이온 배터리(좌)와 전고체 배터리(우)의 구조 ]

 

구조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막이 위치하고 액체 전해질이 양극, 음극, 분리막과 함께 있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이 포함되면서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의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바로 안전성입니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다 보니 온도 변화로 인한 배터리의 팽창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누액 등 배터리 손상 시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부품이나 장치들이 필요합니다.

 

이에 반해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단단해 안정적이며,

전해질이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

  

전고체 배터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전기차용 배터리 용량을 높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시장조사기관에서는 앞으로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대체해 자동차업계의 주류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가 확실한 대세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수준의 주행거리를

구현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핵심부품인 전기차용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배터리의 개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배터리 가격 상승과 공간 효율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습니다.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안전성과 관련된 부품들을 줄이고 그 자리에 배터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활물질을 채웠기 때문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로 전기차 배터리 모듈, 팩 등의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부품 수의 감소로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 용량을 높여야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로 안성맞춤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좌)에 비해 동일 용량에도 크기를 줄인 전고체 배터리(우)]

 

 

 

출처: 삼성SDI 홈페이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