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주의해야 하는 이상반응 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만약 생긴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 출처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열이 나거나 아프면 해열진통제를 먹어야 하나요?

백신 접종 후 열이 나거나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해열진통제 중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제가 권장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약물을 먹을 수 없다면, 의사와 상의 후

이부프로펜 등의 다른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약을 드신 후에도 발열, 두통, 전신통증 등의 증상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출처 ] 대한의사협회, 질병관리청

백신 접종 후 발생한다고 알려진 혈전증이 걱정됩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날 때 의심해봐야 하나요?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보고된 혈전증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입니다.

이는 일부 백신을 접종한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매우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인 혈전증과는 발생기전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항혈전제(항혈소판제, 항응고제)를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후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출처 ] 질병관리청,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완료했습니다.

언제쯤이면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할까요?

예방 접종 후 충분한 양의 항체가 만들어질 때까지는 2~3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백신 효과를 최대로 얻기 위해 각 백신별로 권장되는 기간 및 횟수대로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편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생긴 면역이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지 않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며,

항체가 만들어지기 전에 코로나19에 노출되면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접종을 완료해도 시간이 흘러 면역의 효과가 떨어지면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 완료 후에도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거리 두기 등의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 출처 ] 질병관리청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 백신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고, 효과의 차이가 있나요?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개발기간이 짧고 사용기간이 길지 않아 효과성을 서로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WHO에서 권고하는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유효성 기준은 50% 이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접종하고 있는 4개 종류의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화이자, 모더나)의

 

결과는 모두 이를 상회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한 번만 해도 되나요?

 

현재 국내에 도입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2회 접종이지만, 얀센 백신은 1회 접종합니다.

 

권장 접종 횟수가 2회인 예방접종을 한 번만 할 경우 충분한 면역력을 얻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의 이득을 최대한 누리려면 백신을 권장되는 횟수대로 맞아야 합니다.

 

접종 금기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1차 접종 후 약간의 부작용(혹은 이상반응)이 있더라도 2차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코로나19 1차 예방접종에서 에피네프린 치료가 필요할 만큼의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거나 접종 후

 

즉각적인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 부기, 쌕쌕거림, 호흡곤란 등)이 있었다면 2차 접종 전에 의사와 상담하여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질병관리청,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현재 허가된 코로나19 백신들이 변이형 코로나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나요?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백신들이 변이형 코로나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증 코로나 환자의 발생이나 입원, 사망을 줄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정확한 연구결과가 발표될 때까지 개인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출처 ] 세계보건기구(WHO)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