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 구축하거나 nas를 설치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집에 있는 컴퓨터를

원격접속하거나, 다른 컴퓨터와 파일을 공유하거나 하는 경우 ip주소를

알아야 할때가 있습니다.

일단 ip주소가 무엇인지 개념자체를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0mp.tistory.com/927

 

IP주소란? IP주소의 개념과 이해

IP 주소란? IP란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약속)입니다. 통신이란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는데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어야겠죠.

c0mp.tistory.com

 

일단 윈도우10 컴퓨터에서 아이피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xp이후 모든 윈도우 버전에서도 이 방법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제일 간편한 방법은 키보드의 윈도우키와 'R' 키를 동시에 누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실행창이 뜹니다.

여기에 cmd 를 입력한 후 엔터를 치시거나 확인을 클릭하면

까만색 윈도우 커맨드창이 뜹니다.

커맨드창에서 ipconfig를 치고 엔터를 치면 아래 사진과 같이

ip주소가 나옵니다.

IPv4 주소 옆에 나온 4마디의 숫자가 본인의 ip주소입니다.

만약 ip주소가 192.168.x.x 형식이라면 공인ip(실제ip)가 아닌

사설ip이며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사설ip(또는 가상ip)는 공유기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주소이며

외부에서는 해당 컴퓨터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공유기에서 DMZ나 포트포워딩을 해야만 해당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실제ip인 공인ip를 확인하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네이버 검색창에 "아이피주소" 라고 검색해보면

본인의 공인ip 주소가 나옵니다.

두번째 방법은 공유기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위에서 조회한 ip주소중에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나오는 숫자가

공유기의 주소입니다.

인터넷주소표시줄에 공유기의 주소를 입력하면 공유기에 접속됩니다.

제일 많이 쓰는 아이피타임의 경우 192.168.0.1 입니다.

위 사진과 같이 공유기 설정페이지에 접속하면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경우 ip주소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타 회사 공유기의 경우 인터넷 설정 관련 메뉴를 찾아보시면 공인ip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기 제조사별 ip주소, 기본 관리자접속 아이디/비밀번호

공유기 제조사 / 모델 관리자페이지 접속 주소 관리자 아이디 / 비밀번호 초기 설정 값 포트 포워딩 설정메뉴 경로
 IPTIME 192.168.0.1 admin / admin  또는  없음 관리도구  ▷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 포워드설정
QookHub 172.30.1.254 ktuser / megaap or homehub 고급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설정
HomeHub 172.30.1.254:8899 ktroot / nespot  or  megaap 고급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설정
GiGA wifi home 172.30.1.254:8899 ktruser / homehub  or  megaap 장치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설정
LGU+ ( NAPL,CAPL) 192.168.123.254 admin / 10자리의 공유기 시리얼번호 고급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딩설정
LGU+WIFI(CAPD-6000) 192.168.129.1 admin / 공유기 밑면 참조 고급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딩설정
LGU+WIFI(CAPM-7100) 192.168.129.1 admin / 공유기 밑면 참조 네트워크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딩설정
LGU+ ( CPG-4020) 192.168.123.254 admin / admin 고급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딩설정
MyLGtv 192.168.219.1 user / power, admin / power Network 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딩설정
SK(DIR-615 KSB) 192.168.25.1 admin / admin  or skb_wifi NAT  ▷  포트 포워딩
SK(RUSH-315N) 192.168.25.1 admin/skb_wifi NAT/라우터관리  ▷  포트 포워딩 설정
SK(RUSH-314N) 192.168.25.1 admin / admin 고급설정  ▷ NAT설정  ▷  포트 포워드
SK(MW-2060AP) 192.168.20.1 admin / admin Firewall  ▷  Port Forwarding
SKtelesys 192.168.15.1:62207 root / skb_ipdcp Firewall  ▷  Policles  ▷  Port Forwarding
SK(DVW-2000N) 192.168.25.1 admin / admin or skb_wifi 방화벽  ▷  포트 포워딩 설정
SKtv(MW-2010R) 192.168.20.1 admin / skbiptv,   root / 1234 or admin NAT  or  Firewall ▷  Port Forwarding
CJ(MW-2300N) 192.168.200.254 cjadmin / CJHV_ap_0601 방화벽  ▷  포트 포워딩 설정
CJ(MW-2060AP) 192.168.200.254 cjadmin / CJHV_ap_0601 방화벽  ▷  포트 포워딩 설정
CJ(KWS-1040N) 192.168.200.254 admin 보안설정  ▷  포트 포워딩 설정
CJ(HYC-G800C) 192.168.200.254 admin / admin 방화벽설정  ▷  포트 포워딩
Anygate 192.168.10.1 사용자 설정 전문가 설정  ▷  트래픽 제어  ▷  포트 포워딩
Buffalo 192.168.11.1 root / 공백 LAN구성  또는 게임포트 ▷  포트 포워딩설정
Unicorn 192.168.123.254 admin / admin 가상서버  ▷  포트 포워딩  ▷  가상 서버
LG axler 192.168.10.1 사용자 설정 고급메뉴  ▷  포트 포워딩설정
D-link 192.168.0.1 admin / 공백 고급  ▷  포트 포워딩(or 가상 서버)
Samsung 192.168.123.254   192.168.0.1 admin / 공백 고급설정  ▷  포워딩 /  가상 서버(포트 포워딩)
Zio 192.168.10.1 사용자 설정 NAT  ▷  포트포워딩 설정
Wavecast 192.168.200.254   192.168.25.1 admin / admin or skb_iptv  or skb_wifi 고급설정  ▷  포트 포워딩 , Firewall  ▷  Port forwarding   *.설정 후 재부팅필수
Linksys 192.168.1.1 admin / 1234 공백 / admin Applications & Gaming  ▷  Port Range Forward  또는 Port forwarding
Belkin 192.168.2.1 사용자 설정 방화벽  ▷  가상 서버
Netgear 192.168.0.1 admin / password,   or  1234 고급  ▷  포트 포워딩  ▷  Add Custom Service
Netop 192.168.0.1 admin / admin 방화벽 설정  ▷  가상 서버 설정
Neple 192.168.10.1 admin 고급기능설정  ▷  가상 서버
Levelone 192.168.123.254 사용자 설정 포워딩 규칙  ▷  가상 서버
NETWEEN 192.168.1.1 admin / admin 고급설정  ▷  NAT  ▷  포트 포워딩 설정
NEXT 192.168.100.1  
192.168.0.1
사용자 설정 NAT  ▷  가상 서버(포트 포워딩)
Imation 192.168.10.1 사용자 설정 고급기능설정  ▷  가상 서버
ASUS 192.168.10.1 사용자 설정 NAT설정  ▷  가상 서버
SMC 192.168.2.1 smcadmin 고급설정  ▷  NAT  ▷  가상 서버 설정
Xiaomi Mi 192.168.31.1 사용자 설정 고급설정  ▷  포트 포워딩 설정
TP-LINK 192.168.1.1 사용자 설정 고급  ▷  NAT 포워딩   ▷  포트  포워딩 
netis 192.168.1.1 사용자 설정 방화벽 설정  ▷  포트 포워딩
cosy 192.168.2.1 Admin / 1234 고급설정  ▷  가상 서버 설정
apple 192.168.1.1 사용자 설정 방화벽 설정  ▷  포트 포워딩
netis 192.168.1.1 사용자 설정 방화벽 설정  ▷  포트 포워딩
KT LTE Router 192.168.1.1 root / mexus1234 보안설정  ▷  포트 포워딩 설정
SK LTE Router 192.168.50.1 Admin / 0821 방화벽 설정  ▷  Port 포워딩

 

 

반응형
반응형

집이나 사무실에서 인터넷 환경을 구성할 때 빠지지 않는게 공유기와 허브입니다.

허브는 현재시점에서는 나오지 않는제품이고 허브라 불리우는 모든 제품은 스위치(SWITCH)가 정확한 용어입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위치를 허브라 불러서 그냥 허브=스위치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 글에서도 스위치=허브 이렇게 생각하고  글 작성하는것이니 참고 바랍니다.

 

허브의 개념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제품)

허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대의 디바이스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비입니다.

 

포트는 허브에 따라 다양하며, 1개의 포트에 한 대의 디바이스가 할당됩니다.

 

허브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허브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게

 

전부 전송하는 플러딩이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충돌이 많이 발생하여 하나의 허브에는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동일한 이유로 보안성 또한 떨어집니다.

 

허브는 크게 멀티포트와 리피터 두가지 기능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멀티포트는 한번에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만약 허브가 없다면 디바이스는 두 대만 연결 가능합니다.

 

리피터 같은 경우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들어온 데이터를 재전송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리피터 기능을 사용하면 LAN의 최대 전송거리도 연장되고, 접속할 수 있는 장비의 수도 많아집니다.

 

허브는 IP를 할당하는 기능이 없고, 단순히 포트를 늘려주는 기능을 가집니다.

 

허브는 단순한 분배 중계기에 불과하여 연결되는 디바이스 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 대역이 분리됩니다.  

 

ex. 10Mbps를 제공하는 이더넷에 8포트 허브로 PC를 연결시킬 경우 각 PC는 1.25Mbps의 대역폭만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5포트 L2 스위치

스위치의 개념 (L2 스위치허브 = 현재 우리가 허브라 부르는 제품)

허브는 한 대의 디바이스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고 하였는데,

 

허브에 연결된 한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Collision이 허브에 연결된 모든 영역에

 

노드들에게 영향을 미쳐 통신을 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Collision Domain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브릿지 (S/W적 처리),

 

스위치 (H/W적 처리)입니다.

 

스위치가 발전하여 MAC 주소뿐만 아니라 3, 4, 5, 6, 7 등 상위 계층의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스위칭을 결정하는 제품들이 많은데, 이런 스위치들과 구분하여 MAC 주소만 참조하여 스위칭하는 제품을

 

L2 스위치라고 합니다.

 

보통 L2 스위치를 그냥 스위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스위치는 자신에게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MAC 주소와 포트가 기록된 MAC 주소 테이블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레임이 자신에게 오면 그 것의 목적지가 어디인지 파악하여 그 디바이스에게 프레임을 보내기 때문에

 

트래픽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또한, 스위치는 데이터의 전송 에러 등을 복구해주는 기능들을 가집니다.

 

다만, 스위치는 자신의 테이블에 없는 목적지를 가진 패킷이 오면 해당 패킷을 연결된 모든 장치에 포워딩하는데,

 

이 경우에는 허브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입니다.

 

ex. 10Mbps를 제공하는 이더넷에 스위치로 PC를 연결시킬 경우  하나의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각 PC는 10Mbps로 대역폭이 유지됩니다.

 

유선 공유기

공유기의 개념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업체(흔히 KT, LG 유플러스,SK브로드밴드)에서 제공하는 한 개의

 

인터넷 IP Address로 여러 대의 컴퓨터, 노트북, IP폰 등이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공유기를 사용하면 ISP에서 할당받은 하나의 공인 IP Address를 내부 네트웍에서 여러 개의 IP 주소로 변환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한 대의 컴퓨터에서만 인터넷 접속이나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던 것을 내부 IP 값으로

 

최대 253대까지 동시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또한, 인터넷 공유기는 허브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서, 여러 대의 PC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공유기는 4포트를 내장하고 있는데, 4대 이상의 PC가 하나의 인터넷 IP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유기와 스위칭 허브를 이용하면 됩니다.

 

공유기에는 보통 1개의 WAN 포트와 4개의 LAN 포트가 있는데,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인 IP의 LAN 선을 WAN 포트에 연결하고 나머지 LAN 포트들은 내부 IP (ex 192.168.0.~)로

 

사용할 장치들에 LAN 선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입니다.

 

 

공유기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점

 

공유기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터넷주소를 분배해주느냐 안해주느냐의 차이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선에 공유기를 물리면 모든 컴퓨터가 인터넷이 되지만 

 

허브를 물렸을 경우는 1대 밖에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단, 인터넷회사에서 IP를 여러개 할당해주는 경우는 해당 IP만큼 인터넷이 되기도 합니다.)

 

허브(스위치)는 공유기의 포트가 부족할 때 포트확장용으로 쓴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유기 연결 방법

 

 

 

스위치(허브) 연결방법

 

 

 

 

반응형
반응형

VNC 사용을 위한 ipTIME 공유기 설정법

공유기에 연결된 PC에서 VNC Server를 동작하려면 공유기에 포트개방 설정이 필요하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공유기 포트개방(포트포워드) 설정을 진행합니다.


(1) VNC Server를 동작시킬 PC에서 공유기에 연결된 PC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실행한 후 주소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여 웹 설정화면에 접속합니다.

(2) [관리도구] ->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3) 포트포워드 설정에 아래와 같이 규칙 두개를 추가합니다.






- 정의된 리스트 : 사용자정의
- 규칙이름 : VNC1, VNC2 (임의로 입력)
- 내부 PC IP 주소 : VNC Server를 구동할 PC의 IP를 입력합니다.
- 프로토콜 : TCP
- 외부 포트 : 1부터 65000까지의 임의의 숫자입력. 대부분 낮은 숫자는 예약되어있으므로 1만 단위 이상의 기억

                 하기 좋은 숫자를 입력합니다 (예 : 11111 , 22222)
- 내부 포트 : 5900 (VNC서버의 기본 설정 포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ipTIME 공유기 DMZ 설정방법

UPNP를 지원하지 않는 일부 서버(웹 카메라, FTP, WebDAV, P2P 등)는 외부 접속을 위한 포트포워드가 필요합니다.
여러 서버를 사용을 위해 추가해야 하는 ‘포트포워드’ 개수가 많거나 사용되는 통신 포트를 모르는 경우
해당 서버의 IP주소(내부 IP주소)에 모든 포트를 개방하면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모든 포트를 특정 IP주소에 개방하는 것을 DMZ 설정이라 하며, 해당 IP주소를 DMZ 서버라고 합니다.

진행순서
서버 PC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DMZ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서버 PC의 IP주소 확인
2. 확인된 IP를 DMZ 적용

1. 서버 PC의 IP주소 확인

DMZ를 적용하기 위해선 DMZ 서버로 사용될 PC의 IP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DMZ 서버로 사용될 PC에서 윈도우 좌측하단의 검색에 cmd를 입력 후 엔터키를 누릅니다.

 

명령프롬프트가 실행되면 ipconfig 입력하여 서버 PC의 IP를 확인합니다.



2. 확인된 IP를 DMZ 적용

공유기와 연결된 PC에서 공유기의 설정화면(http://192.168.0.1)_에 접속합니다.
로그인 계정에 admin 이 자동으로 입력된 경우 암호도 admin 으로 입력합니다.
[참고1] 설치 도우미를 통해 관리자 계정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계정과 암호로 로그인합니다.

[관리도구]-[고급설정]-[NAT/라우터 관리]-[고급 NAT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우측 하단 DMZ를 선택하고 ‘내부 IP 주소’에 확인된 서버 PC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입력 후 우측하단의 적용을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합니다.



[참고2] 현재 접속한 컴퓨터가 서버로 사용될 컴퓨터인 경우 ‘현재 접속된 PC의 IP 주소로 설정’을 선택하시면
컴퓨터의 IP가 자동으로 기입됩니다.

[참고3] 포트포워드 설정을 제외한 포트가 개방되므로 DMZ 설정 후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되지 않는다면
포트포워드 설정에 추가된 포트가 중복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MAC클론(MAC Clone)이란?

인터넷회선의 고객인증, 속도저하, 특정사이트 접속 불가 등의 이유로 공유기가 할당 받은
외부ip주소와 사용되는 MAC주소(하드웨어 주소)를 변경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회선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했던 PC에서 MAC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설정을
변경하여 주시면 됩니다.


설정방법
먼저 회선에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PC를 확인합니다.
이후 공유기에 회선을 연결하고 위에서 확인된 PC를 공유기에 1번 포트(점1개)에 연결합니다.

1)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주소 입력란에 http://192.168.0.1을 입력하여 웹 설정화면에 접속한 후
[관리도구] -> [기본 설정] -> [인터넷 연결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은 공유기와 직접 연결된 PC에서만 가능합니다)

2) 메뉴에서 아래 화면의 붉은 네모와 같이 [MAC 주소 변경]을 체크 후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MAC주소 변경 부분에 체크표시가 되어있을 경우는 해제 후 다시 체크를 합니다.)



설정을 마친 후 우측 상단의 설정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한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외부ip주소가 할당되지 않았다면, 모뎀과 공유기를 끄고 모뎀부터 전원을 킨 후 1분 후에 공유기 전원을 켜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기를 AP/스위치(허브)로 변경하는 방법

공유기 2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유기가 다른 내부IP를 사용해야하며,이를 위해 스위치(허브)로
변경하고자 하는 공유기에 내부IP 주소 변경과 DHCP서버 기능을 중단하여야 합니다.

- 스위치(허브)로 변경하고자 하는 공유기의 내부 IP 주소 변경
- 스위치(허브)로 변경하고자 하는 공유기의 DHCP 기능 중지
-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에 스위치(허브)로 변경한 공유기를 연결


(1) 공유기의 내부IP 주소 변경 및 DHCP 기능 중지
공유기의 웹설정화면(http://192.168.0.1)에 접속하여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합니다.
- 초기 관리자 계정 및 암호는 admin

아래 그림과 같이 내부IP주소의 끝자리를 중복되지 않는 임의적으로 변경하고 [DHCP 서버 동작]을 [중지]로 체크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예 : 192.168.0.200)



* 펌웨어 버전 10.04.4 이상인 경우
위의 과정 중 내부IP주소 끝자리 변경 후 공유기의 웹설정화면(http://192.168.0.1)에 접속하여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DHCP 서버 설정]에서 DHCP 서버 동작을 [중지]로 체크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2) 스위치(허브)로 변경된 공유기의 연결


위의 그림과 같이 스위치로 변경된 <공유기2>의 LAN 포트 1~4 중 하나를 원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던 <공유기1>의
LAN 포트 1~4중 하나에 연결합니다. <공유기2>는 스위치로 동작하게 되므로 <공유기2>의 WAN 포트에는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습니다.


이제 스위치(허브)로 변경된 공유기를 기존 공유기에 연결하는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상단 네트워크 <공유기1>에서 IP할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 PC에서 IP갱신을 하셔야 하며 PC를 재부팅 하거나 공유기를 재시작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1]
Q304/Q504의 경우는 간편설정이 가능하므로 (1)~(2) 과정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 2]
스위치(허브)로 변경되어 연결된 공유기가 무선 공유기로 필요에 따라 무선 연결 설정이 필요한 경우 <공유기1>
또는 <공유기2>에 연결된 PC 어디에서나 <공유기2>의 변경된 IP 주소(예제에서는 192.168.0.200)를 인터넷 탐색기의
주소란에 입력하면 공유기 관리도구에 쉽게 접속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무선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경고]
- 상단 공유기에도 "내부 네트워크에서 DHCP 서버 발견시 공유기의 DHCP 서버기능 중단"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상단 공유기의 설정을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 일부 환경에서 공유기를 스위치(허브)로 변경 후, UPNP 포트포워딩 기능이 실행 중이라면
 네트워크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기능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회선의 속도저하, 특정사이트 접속 불가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유기에 할당된 외부IP주소를

변경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회선에서 할당되는 IP주소는 공유기의 MAC주소에 따라 결정되므로 MAC주소를 변경하면

공유기에 할당되는 외부IP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진행 순서]
1.PC를 이용한 설정 방법
2.스마트폰을 이용한 설정 방법

1.PC를 이용한 설정 방법
먼저 회선에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PC를 확인합니다.
이후 공유기에 회선을 연결하고 위에서 확인된 PC를 공유기에 1번 포트(점1개)에 연결합니다.

(1) 본 게시물에서는 ipTIME 공유기의 기본 IP주소 192.168.0.1을 사용하였으며
기본 IP주소가 변경되었다면 ipTIME 검색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웹 설정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웹 설정화면 접속은 공유기와 연결된 PC를 이용하여 아래 그림의 ①~⑥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① 인터넷 주소창에 http://192.168.0.1을 입력하여 ipTIME 공유기 웹 설정화면으로 접속합니다.
② 로그인 계정이 admin으로 입력된 경우 암호에 admin을 입력합니다.
③ 보안문자를 입력합니다.
④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⑤‘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2) [기본 설정] -> [인터넷 설정 정보] 메뉴에서 아래 화면의 붉은 네모와 같이 [MAC 주소 변경]을 체크 후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MAC주소 변경 부분에 체크표시가 되어있을 경우는 해제 후 다시 체크를 합니다.)




2.스마트폰을 이용한 설정 방법
(1) ipTIME Mobile Manage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유기 설정화면 접속

ipTIME Mobile Manager 사용방법을 참고하여 ipTIME Mobile Manager를 설치합니다.

(2) 인터넷 정보 바로가기를 눌러 인터넷 설정정보 메뉴로 접속합니다.
  

 

(3) ‘변경’앞에 있는 체크박스에 ①체크 후 ②적용을 클릭합니다.
  

 


[참고]
맥주소 변경후 외부ip주소가 할당되지 않는다면, 모뎀과 공유기를 끄고 모뎀부터 전원을 킨 후

1분 후에 공유기 전원을 켜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