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도 배당금이 들어왔다고 카톡이 왔네요.

저는 무조건 배당을 주는 주식만 삽니다.

혹시나 물려도 배당금 받으면서 존버할 수 있거든요.

그럼 배당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배당금이란?

주식 배당금이란 기업이 주주에게 지급하는 이익의 일부로,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지급됩니다.

주식 배당금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투자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며,

주식 투자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식 배당금을 준다는 점 자체가 기업이 꾸준히 돈을 잘 벌고

있다는것이며 원할한 현금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식 배당금은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며,

장기 투자에 유리한 요소입니다.

특히, 주식 배당금을 통해 정기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어,

많은 투자자들이 배당주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주식 배당금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에 따라 달라지므로,

투자자는 기업의 배당 정책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주식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해야 하며,

주주총회 후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배당기준일이란?

배당 기준일은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 날짜로,

이 날짜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주식을 매수하고 거래일 기준 2일이 지나야 해당 기업의 주주가

되기때문에 배당기준일 2일전까지는 매수를 해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T+2일 결제제도’라 부릅니다.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한 뒤 거래가 완료되어 실질적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데 2영업일이 걸리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기준일이 12월 31일이고 금요일이라면, 2영업일 전인

12월 29일 수요일까지는 주식을 매수해야 됩니다.

 

대략 아래와 같은 절차로 배당이 지급됩니다.

 

 

주주총회는 배당금 지급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로,

이 회의에서 배당금 지급 여부와 금액이 결정됩니다.

배당금은 주식 수와 배당금액을 곱하여 계산하며,

세금이 적용된 후 최종 금액이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주당 배당금이 300원이고 총100주를 가지고있다면

총 배당금은 3만원입니다.

여기에서 배당금에 대한 15.4%의 배당소득세와 1.4%의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이 주식계좌로 입금됩니다.

따로 개인이 신고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연간 배당소득이 2천만원이 넘을경우, 매년 5월에

기존의 다른소득과 배당소득을 합한 금액을 종합소득세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배당락일이란?

또한 배당락일이라는 것도 알아두셔야합니다.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의 1영업일 전날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말합니다.

즉, 배당금을 받고 싶다면 배당락일 이전에 주식을 사야 됩니다.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수하면 소유권이 배당기준일 이후에 등록되기

때문에, 이번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대신에 배당락일 전날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배당락일에

그 주식을 매도해도 주주 명부에 등재되어 배당금을 지급 받게 됩니다.

배당락일에는 보통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하면서 기업의 가치가 줄어드는 것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이론적으로 주가는 배당금만큼 하락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주당 배당금으로 1,000원을 지급한다면,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1,000원 정도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요.

물론, 배당금 외에도 시장의 다른 여러 요인들이 주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당락일의 주가 하락 폭은 배당금액과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선 배당액확정, 후 배당기준일’이라는 배당 절차

개편으로 인해 이제 기업들은 주주총회 이후에 배당기준일을 지정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배당금 지급 여부와 배당금 지급일, 배당금액 등이 확정된 후에

배당기준일을 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투자자들은 배당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한 후에 주식을

매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합리적인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 거죠.

대신에 주식마다 배당기준일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배당기준일이 언제인지 직접 확인해야 됩니다.

주식 배당금 지급일을 확인하는 방법은 기업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

하지만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한 가지만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매 기업 홈페이지 들어가서 배당금 지급일을 확인하는 것은

엄청 귀찮은 일이죠.

그래서 아래의 증권정보 포털사이트에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seibro.or.kr/websquare/control.jsp?w2xPath=/IPORTAL/user/company/BIP_CNTS01041V.xml&menuNo=278#

 

SEIBro

 

seibro.or.kr

 

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원하는 기업명을 입력하면

쉽게 배당기일, 배당금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