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11 로컬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윈도우11을 설치하면서 로컬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컬계정의 장점과 설치 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로컬계정이란?

로컬계정은 컴퓨터에만 저장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인터넷 연결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계정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는 달리, 클라우드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에 유리합니다.

또한, 인터넷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과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윈도우 11을 설치할 때 아래 사진과 같이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로그인을 요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예전에는 로컬 계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옵션이 보였는데,

지금은 그 옵션이 보이지 않습니다.

윈도우11 22H2 버전부터는 기본적으로 오프라인/로컬계정설정이

비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Microsoft 계정이 아닌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고 싶거나,

또는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 Microsoft 계정 로그인이 불가능하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로컬 계정으로 설치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랜선이 연결되어 있다면 랜선을 뺍니다.)

Shift + F10을 누릅니다.

까만색 명령어창이 뜨면, oobe\bypassnro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됩니다.

재부팅을 한 후 부터는 언어설정부터 다시 시작을 하게됩니다.

위 화면과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 화면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항목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아래 사진과 같이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클릭합니다.

이제는 아래와 같이 로컬계정으로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로컬계정을 생성한 후 설치가 완료되면 인터넷을 다시 연결하면 됩니다.

만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고 싶다면 윈도우 설정의 "계정"

메뉴에서 계정 추가가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